2013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일본 영화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특유의 섬세한 시선과 인간미로 많은 이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겼다. 10년이 넘는 시간이 흘렀지만, 이 작품은 여전히 ‘가족’이라는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며 다시금 회자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의 줄거리와 핵심 서사, 그리고 감독의 연출 철학을 중심으로 이 작품의 가치를 재조명해본다.
가족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되묻다 –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줄거리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원제: そして父になる, 영어 제목: Like Father, Like Son)는 ‘혈연’과 ‘함께한 시간’ 중 가족을 정의하는 데 있어 무엇이 더 본질적인가에 대한 질문을 중심에 둔 작품이다. 주인공은 도쿄에서 성공한 건축가 ‘료타’로, 그는 완벽주의적인 성격을 지닌 엘리트 직장인이다. 그에게 가족은 성취의 일부이며, 아들 ‘케이타’ 역시 자신의 방식대로 엄격하게 키우고 있다. 하지만 어느 날 병원으로부터 충격적인 전화를 받는다. 여섯 살이 된 아들이 실제로는 병원 측의 실수로 바뀐 아기였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자신이 여섯 해 동안 키운 아이는 혈연상 자신의 자식이 아니고, 진짜 친자는 다른 가정에서 자라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때부터 두 가족은 혼란과 갈등 속에서 만나고, 서로의 삶을 엿보며 복잡한 감정에 휩싸인다. 료타의 상대 가족은 중소도시에서 가전제품 수리점을 운영하는 유이치 부부다. 유이치와 그의 아내는 경제적으로 넉넉하진 않지만, 아이들과의 유대가 강하고 자유로운 분위기의 가정이다. 반면 료타는 일과 성공 중심의 생활을 해온 인물로, 이 두 가족의 가치관 충돌은 관객으로 하여금 ‘진짜 가족’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을 던지게 한다. 이 영화는 단순한 가족 영화나 드라마가 아니다. 눈물샘을 자극하는 클리셰보다는, 일상 속 현실적인 대화와 침묵으로 감정을 전달한다. 료타는 자신의 완고함과 진심 없는 양육 방식을 되돌아보며 변화해 나가고, 결국 그는 혈연보다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깨달아간다. 감정적으로 절제되어 있으면서도 깊은 울림을 주는 이 영화의 줄거리는, 자극적인 전개 없이도 강력한 몰입감을 선사하며 인간 내면을 조용히 흔든다.
섬세하고 절제된 서사 – 감정의 밑바닥을 흔들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다큐멘터리 출신답게, 극적인 장면보다 일상적이고 평범한 순간에 집중한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에서도 마찬가지로, 영화는 대사보다 시선, 공간, 행동의 변화를 통해 감정선을 구축해 나간다. 이는 관객이 마치 그 가족의 일원처럼 감정을 느끼게 만드는 강력한 몰입 장치다. 가장 인상적인 점은 인물 간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설명하기보다는, 행동을 통해 보여주는 방식이다. 예컨대, 료타가 아들 케이타의 사진을 정리하다 무심코 멈칫하는 장면, 처음 만난 생물학적 아들을 어색하게 바라보는 장면들은 말보다 더 많은 것을 보여준다. 카메라의 시선은 인물의 시선을 따라가며 그들이 느끼는 거리감과 갈등을 그대로 전한다. 이러한 서사 방식은 관객의 해석을 요구한다. 감독은 결코 해답을 내놓지 않는다. '어떤 방식이 맞다'고 말하지 않고, 다만 인물들의 선택과 변화를 보여준다. 이러한 모호함이야말로 이 영화의 진정한 깊이이다. 또한, 두 가정의 대비는 계급, 가치관, 양육 방식의 차이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료타는 철저히 계획된 삶을 살아온 사람이고, 유이치는 삶을 즐기며 사람을 우선시하는 사람이다. 하지만 그 어떤 인물도 악역이 없다. 모두 자신의 방식으로 아이를 사랑하고, 그 사랑이 서로 다르게 표현될 뿐이다. 이 영화의 힘은 바로 그 ‘다름’을 배척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게 만드는 데 있다. 관객은 어느 한 쪽을 쉽게 선택할 수 없으며, 두 가족 모두에 감정을 이입하게 된다. 그렇게 우리는 어느새 영화 속 인물들과 함께 성장하게 된다.
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 – 가족과 인간을 바라보는 시선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일본 현대 영화계를 대표하는 감독 중 한 명이다. 그는 『아무도 모른다』, 『걸어도 걸어도』, 『바닷마을 다이어리』, 『어느 가족』 등 가족을 주제로 한 작품들을 꾸준히 선보이며, 가족의 다양한 형태와 관계를 탐구해왔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는 그중에서도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이며, 그의 대표작으로 손꼽힌다. 고레에다는 이 작품을 통해 "가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가장 정면으로 마주한다. 혈연에 대한 일본 사회의 뿌리 깊은 인식, 부모의 자격에 대한 사회적 시선 등을 날카롭지만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본다. 감독 본인은 영화 속 료타와 어느 정도 닮은 점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딸을 둔 아버지로서, 육아 과정에서 겪는 갈등과 자기반성을 작품에 투영했다고 한다. 이 점에서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는 단순한 사회적 메시지를 넘어서, 개인적인 고백이자 성찰로도 읽힌다. 또한, 그는 비전문 배우와 실제 가족처럼 촬영을 진행하는 방식을 즐겨 사용한다. 아이들과 함께하는 장면에서도 리허설을 최소화하고, 자연스러운 상황 속에서 감정을 이끌어내는 방식이 돋보인다. 이런 연출 방식은 감정을 과장하지 않으며, 진짜 삶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리얼리티를 만들어낸다. 고레에다의 영화는 언제나 '조용한 힘'을 가진다. 큰 사건 없이, 하지만 깊은 울림을 주는 그의 작품 세계는 한국 관객에게도 깊은 공감을 얻으며 꾸준한 팬층을 확보하고 있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는 단순히 ‘자식 바뀜’이라는 설정에서 끝나는 영화가 아니다. 그것은 한 남자가, 한 아버지가, 진짜 ‘부모’가 되어가는 성장 이야기이며, 인간이 타인과 관계 맺는 법을 배워가는 여정을 담고 있다. 10년이 지난 지금도 이 영화가 계속 회자되는 이유는, 그것이 단지 시대적인 메시지를 넘어서 인간 본연의 감정을 정면으로 건드리기 때문이다. 가족, 사랑, 혈연, 시간, 관계, 그리고 무엇보다 '성장'에 대한 이 영화의 시선은 여전히 유효하다. 누군가의 부모로서, 누군가의 자식으로서 살아가고 있다면 이 영화를 꼭 한 번 다시 꺼내보길 바란다. 조용하지만 깊이 있는 질문이 당신의 마음에 잔잔한 파문을 일으킬 것이다.